본문 바로가기

조선시대84

소 이야기로 알려진 청백리 황희 정승 조선의 위대한 재상 황희 정승의 이야기조선시대의 위대한 재상 중 한 사람인 황희(黃喜)는 그의 충성과 지혜로 많은 업적을 남겼습니다.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구부(懼夫), 호는 방촌(尨村)입니다. 1363년(공민왕 12년) 개성에서 태어난 그는 조선 건국 초기부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조선의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황희의 생애와 주요 업적, 그리고 그의 사후 평가와 가계 계승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황희의 초기 생애와 출사황희는 1376년(우왕 2년) 음서로 녹사 직을 제수받으며 14살의 나이로 관직 생활을 시작했습니다. 어린 시절부터 총명하고 명민한 두뇌를 지녔던 그는, 글을 보면 대번에 기억하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1383년과 1385년에 각각 사마시와 진사시.. 조선시대 2025. 2. 9.
세조의 아들 예종, 아버지에 가려진 안타까운 왕 세조의 둘째 아들 예종, 짧았지만 의미 있는 재위 기간조선 역사에서 중요한 인물 중 하나인 예종(睿宗)은 세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많은 사건과 업적을 남겼습니다. 이번에는 예종의 생애와 재위 기간 동안의 주요 사건들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출생1450년 1월 23일재위기간1468년 10월 1일 ~ 1470년 1월 9일사망1470년 1월 9일예종의 출생과 세자 책봉1450년(세종 32)에 태어난 예종은 세조의 둘째 아들로, 어머니는 파평윤씨 윤번의 딸 정희왕후입니다. 자는 명조(明照), 평보(平甫)이며 이름은 이황(李晄)입니다. 1455년(세조 1)에 형 이장이 의경세자로 책봉된 후 해양대군으로 봉해졌습니다. 그러나 1457년(세조 3) 의경세자가 승하하면서 세조는 적장손 월산대군을.. 조선시대 2025. 1. 25.
한글을 창제하는데 1등 공신 문종, 아버지 그늘에 가려진 불운의 왕 문종의 출생과 즉위 이전의 활동조선의 다섯 번째 왕인 문종(文宗)은 그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에도 중요한 정치적, 사회적 변화를 이끌어낸 인물입니다. 문종의 출생부터 즉위 이전의 활동까지, 그의 생애는 조선 초기 왕조의 중요한 전환점을 보여줍니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문종의 출생 배경, 가족 관계, 세자 시절의 활동, 그리고 그의 결혼 생활과 그로 인한 정치적 영향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문종의 출생과 가계문종의 본명은 향(珦)이며, 자는 휘지(輝之)입니다. 그는 1414년(태종 14년)에 충녕대군의 큰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조선이 건국된 지 약 20년이 지난 시점에서의 출생이었으며, 그의 할아버지 태종은 강력한 왕권 강화책으로 정국을 안정시키는 데 큰 역할을 했습니다. 태종은 맏아들인 양녕대군을 세자.. 조선시대 2025. 1. 24.
고려의 역사를 정리한 고려사, 고려시대 연구의 소중한 자료 고려사의 역사와 편찬 과정, 조선 시대의 중요한 기록물 고려사는 조선 건국 이후 전 왕조인 고려의 역사를 정리한 관찬 사서로, 고려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1449년 세종 31년에 편찬을 시작하여 1451년 문종 1년에 완성되었으며, 1454년 단종 2년에 간행되었습니다. 이 책은 고려시대 연구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고려사의 구조와 기전체 사서고려사는 세가(世家) 46권, 지(志) 39권, 연표(年表) 2권, 열전(列傳) 50권, 목록(目錄) 2권 등 총 139권으로 구성된 기전체(紀傳體) 사서입니다. 기전체는 기, 전, 지, 표의 서술 체재로, 사마천의 『사기』에서 유래한 방식입니다. 이는 왕조 교체 후 전 왕조의 역사를 체.. 조선시대 2025. 1. 23.
백두산 호랑이 김종서 장군, 그의 업적은? 문무를 겸비한 조선의 뛰어난 관료 김종서 장군조선 시대의 뛰어난 관료 김종서에 대해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김종서는 문과 급제를 통해 관직에 진출한 후, 다양한 요직을 역임하며 조선의 정치와 군사에 큰 공헌을 한 인물입니다. 그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사후 평가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계유정난과 세조에 대한 이야기를 정리한 역사스페셜입니다. 김종서의 가계와 유년 시절김종서의 본관은 순천이며, 1383년(고려 우왕 9년)에 태어났습니다. 그의 조부는 김태영(金台泳), 아버지는 김추(金陲)이며, 어머니는 배규(裵規)의 딸입니다. 외조부 배규는 태조대 사간원장무를 역임했으나, 조부와 부은 실록에서 이름이 확인되지 않아 관력이 자세하지 않습니다. 김종서에게는 양주부사 등을 지낸 형제 김종흥(金宗興)이.. 조선시대 2025. 1.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