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24 강조에 의해 옹립된 현종, 혼란을 수습한 개혁군주 고려 제8대 국왕 현종, 혼란을 딛고 전성기로 나아간 개혁의 군주 고려 역사에서 중대한 전환점을 만든 국왕 중 한 명을 꼽으라면, 단연 제8대 국왕 현종(顯宗)이 빠질 수 없습니다. 즉위부터 거란과의 치열한 전쟁, 그리고 국가 체제 정비에 이르기까지, 그는 고려가 혼란을 이겨내고 전성기로 나아가는 길을 닦은 중요한 인물입니다.현종의 출생과 극적인 즉위 과정 현종은 아버지 왕욱과 어머니 헌정왕후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관계는 당시로선 금기시되는 관계였고, 이로 인해 왕욱은 유배되었으며, 현종은 출생 직후 어머니를 잃고 유모 손에 맡겨져 성장하게 됩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그는 성종의 보호 아래 자랐고, ‘대량원군(大良院君)’에 책봉되며 왕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 고려시대 2025. 4. 10. 더보기 ›› 조선에 의해서 핍박 받은 고려를 세운 왕건 후손, 그들은 어디에 있을까? 고려를 세운 왕건, 그의 후손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 “고려를 세운 왕건의 후손은 지금 어디에 있을까?”역사에 관심이 많은 분이라면, 한 번쯤은 이런 궁금증을 가져보셨을 겁니다.고려를 건국한 태조 왕건, 우리 역사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인데요. 그가 세운 고려는 약 500년간 지속됐고, 왕건의 자손들이 수십 대에 걸쳐 왕위를 이어갔습니다.하지만 고려가 조선으로 바뀐 뒤, 그 후손들은 과연 어떻게 되었을까요?오늘은 왕건의 후손들이 현재 어디서, 어떻게 살아가고 있는지, 그리고 그 계보는 어떻게 이어졌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왕건은 누구인가? 먼저 간단히 살펴볼까요?태조 왕건(877~943)은 918년 고려를 건국한 인물입니다. 후삼국을 통일하고, 새로운 통일 왕조를 세워 신라 이후 분열됐던 한반도를 다시 .. 고려시대 2025. 4. 2. 더보기 ›› 목화씨를 가져온 문익점, 우리나라를 따뜻하게 만들어 준 의인 문익점과 목화씨 이야기 문익점이 퍼트린 목화씨는 한국 역사와 농업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친 이야기로, 오늘날까지도 많은 이들의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문익점은 옛날 한국에 목화씨를 전파하여 한국의 섬유 산업과 생활 문화에 기여한 인물로 전해지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그가 누구였는지, 목화씨가 한국 사회에 끼친 영향은 무엇인지, 그리고 이 이야기가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문익점은 누구인가?문익점은 고려 말기 또는 조선 초기를 배경으로 전해지는 인물로, 외국에서 목화씨를 입수하여 국내에 전파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역사적 배경: 당시 한국은 농업 중심의 사회였으며, 목화와 같은 새로운 작물의 도입은 섬유 산업 발전에 큰 전환점을 마련할 수 있었습니다.혁신적인 행보: 문익점은 .. 고려시대 2025. 3. 17. 더보기 ›› 기황후, 고려 공녀에서 원나라 황후까지 기황후: 고려 공녀에서 원나라 황후까지, 한 여인의 파란만장한 삶 역사 속에는 수많은 강인한 여성들이 등장하지만, 그중에서도 기황후는 고려 공녀 출신으로 원나라 황후의 자리에 오르며 원나라와 고려 양국의 역사에 큰 영향을 미친 독보적인 인물입니다. 오늘은 기황후의 삶을 자세히 들여다보며, 그녀가 어떻게 고려의 한 공녀로부터 원나라의 최고 권력자 중 한 명이 되었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과 도전을 극복했는지 알아보겠습니다.기황후는 누구인가?기황후는 고려 시대 행주 기씨 가문 출신으로, 원나라에서 울제이쿠투(完者忽都)라는 이름으로 불렸습니다. 그녀는 고려의 무신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아버지 기자오는 무신정권 하에서 벼락출세한 인물이었습니다. 기황후는 원 순제의 후궁이 되었고, 훗날 북원의 제2대.. 고려시대 2025. 3. 16. 더보기 ›› 고려 시대 왕권 강화의 중요한 수단, 노비안검법은 무엇인가? 고려시대 노비안검법에 대해 알아보기 노비안검법, 한때 고려 시대 왕권 강화의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졌던 이 제도는 오늘날 한국사를 공부하는 이들에게 깊은 궁금증을 불러일으킵니다. 광종 시절 추진된 강력한 개혁 정책의 한 축이지만, 당시 기록은 소략해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등 기본 사료들을 중심으로 노비안검법의 시행 배경과 내용,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최대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노비안검법의 배경과 개념노비안검법은 고려 제4대 국왕 광종(光宗)이 왕권 강화를 위해 추진한 개혁 정책의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노비는 신하들의 사병이자 노동력으로 활용되었는데, 광종은 이들 중 억울하게 노비가 된 '양인'들을 조사하여 본래의 신분으로.. 고려시대 2025. 3. 11. 더보기 ›› 반응형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