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강조에 의해 옹립된 현종, 혼란을 수습한 개혁군주

마스터지 2025. 4. 10.

고려 제8대 국왕 현종, 혼란을 딛고 전성기로 나아간 개혁의 군주

 

고려 역사에서 중대한 전환점을 만든 국왕 중 한 명을 꼽으라면, 단연 제8대 국왕 현종(顯宗)이 빠질 수 없습니다. 즉위부터 거란과의 치열한 전쟁, 그리고 국가 체제 정비에 이르기까지, 그는 고려가 혼란을 이겨내고 전성기로 나아가는 길을 닦은 중요한 인물입니다.

고려의 지도(나무위키)

현종의 출생과 극적인 즉위 과정

 

현종은 아버지 왕욱과 어머니 헌정왕후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관계는 당시로선 금기시되는 관계였고, 이로 인해 왕욱은 유배되었으며, 현종은 출생 직후 어머니를 잃고 유모 손에 맡겨져 성장하게 됩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그는 성종의 보호 아래 자랐고, ‘대량원군(大良院君)’에 책봉되며 왕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성종이 사망하고 목종이 즉위하면서 정치적 입지가 위협받아 결국 승려의 길에 들어서야 했죠.

하지만 1009년, 목종의 병세 악화와 김치양 세력의 후계 시도 속에서 정국은 급변합니다. 강조라는 무장이 목종의 병세를 오해하고 쿠데타를 일으켜 왕위를 넘기는 혼란 속에서 현종은 뜻하지 않게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바로 이것이 ‘강조의 정변’이며, 이로 인해 현종의 즉위는 비정상적인 절차를 거친 것이라는 평가도 존재합니다.

 

강조의 정변에 대한 KBS[고려거란전쟁] 입니다.

 

2차 고려-거란 전쟁과 현종의 파천

 

현종 즉위 직후 고려는 또 다른 큰 위기를 맞이합니다. 거란은 강조의 정변과 여진족 문제를 구실로 대군을 이끌고 고려를 침략합니다. 당시 고려군은 초반에 전력을 다했지만, 결국 강조가 포로로 잡히고, 전선이 무너지며 수도 개경이 위협받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현종은 강감찬의 조언을 따라 남쪽으로 피신하는 ‘파천’을 단행합니다. 이 과정에서 숱한 고초를 겪으며 국왕으로서의 권위에도 상처를 입었죠. 결국 현종은 거란에 직접 친조를 약속하고 강화에 성공, 개경으로 돌아올 수 있었습니다.

 

2025.01.19 - [고려시대] - 강조의 정변과 2차 거란의 고려 침입

 

강조의 정변과 2차 거란의 고려 침입

고려 목종 12년 강조의 정변, 현종 즉위와 2차 거란 침입의 서막 1009년(목종 12년)은 고려 역사상 중요한 전환점으로 기록됩니다. 이 해, 서북면을 지키던 강조(康兆)가 국왕 목종(穆宗)을 시해하

234.goodthinq.com

 

귀주대첩으로 완성된 반격 – 3차 고려-거란 전쟁

그러나 갈등은 끝나지 않았습니다. 거란은 고려의 친조 약속 불이행과 강동6주 반환 문제를 이유로 1018년 또다시 대규모 침공을 감행합니다. 그러나 이번에는 달랐습니다.

 

현종은 강감찬에게 전권을 위임했고, 준비된 고려군은 귀주에서 거란군을 대파하는 데 성공합니다. 이른바 ‘귀주대첩’입니다. 이 승리로 고려는 국제적으로 군사적 위신을 세우고, 안정적인 외교 국면을 맞이하게 됩니다.

 

2024.01.27 - [분류 전체보기] - 강감찬 장군, 고려를 대표하는 장군이자 문관

 

강감찬 장군, 고려를 대표하는 장군이자 문관

1. 강감찬의 업적과 영향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장군이자 문관으로 활약한 강감찬은 현종을 보좌하며 고려군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제3차 여요전쟁에서의 활약은 그의 명성을 더욱 높였습니다.

234.goodthinq.com

개경 재건과 국가 체제의 정비

 

2차 전쟁으로 초토화된 수도 개경은 현종의 지시 아래 철저한 재건 작업이 진행됩니다. 황성과 민가 사이의 공간을 강화하기 위해 나성(羅城)을 쌓았고, 전후 경제 회복을 위한 장인 수 축소, 농업 장려, 물가 안정화 정책이 시행되었습니다.

 

지방 행정도 손질되었습니다. 5도호, 8목 체제로 개편되었고, 향리와 사심관의 역할도 체계화되었습니다. 향공의 과거 응시 기준도 강화되어 인재 등용의 질도 높아졌습니다.

 

문화정책과 불교 부흥, 초조대장경의 시작

 

전쟁과 혼란 속에서도 문화와 정신을 다잡는 작업은 계속됐습니다. 유교 측면에서는 설총과 최치원을 문묘에 처음으로 모시며 유학의 계승을 강조했고, 『7대실록』을 편찬해 국가의 기록을 정비했습니다.

초조대장경(우리역사넷)

불교적으로는 초조대장경의 조판 사업이 시작되었고, 이는 훗날 고려대장경(팔만대장경)의 모태가 됩니다. 또한 연등회와 팔관회를 부활시키고 전국 신사에 대한 예우를 강화하는 등 전통문화도 부활시켰습니다.

 

2024.10.04 - [분류 전체보기]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해인사 팔만대장경, 기록 문화의 우수성 입증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해인사 팔만대장경, 기록 문화의 우수성 입증

해인사 팔만대장경, 세계가 주목한 불교 문화유산의 가치 해인사는 경남 합천에 위치한 한국 불교의 대표적인 사찰로, 그 안에 보관된 팔만대장경은 세계적으로도 그 가치를 인정받는 귀중한

234.goodthinq.com

 

고려의 전성기를 향한 디딤돌, 현종

 

종의 치세는 한마디로 혼돈에서 질서를 되찾은 시대였습니다. 거란이라는 외적의 위협, 내부 정치의 불안, 국가 체제의 정비가 절묘하게 맞물리며 고려는 안정된 중세 국가로 나아갈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현종은 단지 위기를 넘긴 왕이 아니라, 외교·내정·문화 전반에서 중흥의 초석을 놓은 군주였습니다. 그의 통치는 고려 후기의 부흥으로 이어지며 오랜 시간 역사 속에서 기억되고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