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려사7

강조에 의해 옹립된 현종, 혼란을 수습한 개혁군주 고려 제8대 국왕 현종, 혼란을 딛고 전성기로 나아간 개혁의 군주 고려 역사에서 중대한 전환점을 만든 국왕 중 한 명을 꼽으라면, 단연 제8대 국왕 현종(顯宗)이 빠질 수 없습니다. 즉위부터 거란과의 치열한 전쟁, 그리고 국가 체제 정비에 이르기까지, 그는 고려가 혼란을 이겨내고 전성기로 나아가는 길을 닦은 중요한 인물입니다.현종의 출생과 극적인 즉위 과정 현종은 아버지 왕욱과 어머니 헌정왕후 사이에서 태어났습니다. 하지만 이들의 관계는 당시로선 금기시되는 관계였고, 이로 인해 왕욱은 유배되었으며, 현종은 출생 직후 어머니를 잃고 유모 손에 맡겨져 성장하게 됩니다.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그는 성종의 보호 아래 자랐고, ‘대량원군(大良院君)’에 책봉되며 왕족으로서의 정체성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 고려시대 2025. 4. 10.
고려 시대 왕권 강화의 중요한 수단, 노비안검법은 무엇인가? 고려시대 노비안검법에 대해 알아보기 노비안검법, 한때 고려 시대 왕권 강화의 중요한 수단으로 여겨졌던 이 제도는 오늘날 한국사를 공부하는 이들에게 깊은 궁금증을 불러일으킵니다. 광종 시절 추진된 강력한 개혁 정책의 한 축이지만, 당시 기록은 소략해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기 어려운 점이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 등 기본 사료들을 중심으로 노비안검법의 시행 배경과 내용, 그리고 그 의미에 대해 최대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노비안검법의 배경과 개념노비안검법은 고려 제4대 국왕 광종(光宗)이 왕권 강화를 위해 추진한 개혁 정책의 하나로 알려져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노비는 신하들의 사병이자 노동력으로 활용되었는데, 광종은 이들 중 억울하게 노비가 된 '양인'들을 조사하여 본래의 신분으로.. 고려시대 2025. 3. 11.
금관가야의 시조 김수로왕, 탄생 설화 및 시대상황 알아보기 금관 가야의 시조 김수로왕 알아보기 고대 가야 역사의 시초를 여는 인물, 김수로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김수로왕은 금관가야(금관가야)의 건국 시조로 전해지며, 그의 설화와 관련 기록은 여러 사서에 다양하게 전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김수로왕의 탄생 설화, 건국 신화, 그리고 통치자로서의 활동에 관한 여러 기록들을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김수로왕의 탄생과 건국 설화김수로왕에 관한 가장 상세한 기록은 『삼국유사』의 가락국기에 전해집니다. 이 설화에 따르면,  탄생 배경: 김해 지역에 9간(九干)이라는 유력 세력이 모여 살던 가운데, 후한 광무제 건무 18년(42년)에 북쪽 구지에서 하늘로부터 이상한 소리가 들리자, 그 소리에 맞춰 노래를 부르니 하늘에서 자줏빛 줄에 묶인 금상자가 내.. 삼국시대 2025. 2. 27.
시무28조의 최승로, 고려 초기 국가 체제 정비 기틀 마련 최승로, 고려 초기를 빛낸 문신 관료의 삶과 업적고려 초기, 혼란과 변혁의 시기를 헤쳐 나간 문신 관료 최승로는 그의 헌신과 지혜로 인해 역사에 깊이 새겨진 인물입니다. 927년 태조 왕건의 통일 이후 활약했던 최승로는 989년 성종 8년에 사망하였으며, 그의 삶과 업적은 『삼국유사』, 『고려사』, 『고려사절요』 등의 기록을 통해 엿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최승로의 생애, 정치적 활동, 그리고 그의 역사적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최승로의 출생과 가문최승로는 927년 태조 왕건의 통일기인 태조 10년에 태어났습니다. 경주 출신으로, 아버지는 최은함(崔殷含)입니다. 그의 출신지와 성씨로 미루어 보아, 최씨는 6두품 집안의 후예로 여겨졌습니다. 이는 그가 유서 깊은 가문 출신임을 의미하며, 그의.. 고려시대 2025. 1. 31.
고려의 역사를 정리한 고려사, 고려시대 연구의 소중한 자료 고려사의 역사와 편찬 과정, 조선 시대의 중요한 기록물 고려사는 조선 건국 이후 전 왕조인 고려의 역사를 정리한 관찬 사서로, 고려시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고 있습니다. 1449년 세종 31년에 편찬을 시작하여 1451년 문종 1년에 완성되었으며, 1454년 단종 2년에 간행되었습니다. 이 책은 고려시대 연구에 있어 가장 기본이 되는 자료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고려사의 구조와 기전체 사서고려사는 세가(世家) 46권, 지(志) 39권, 연표(年表) 2권, 열전(列傳) 50권, 목록(目錄) 2권 등 총 139권으로 구성된 기전체(紀傳體) 사서입니다. 기전체는 기, 전, 지, 표의 서술 체재로, 사마천의 『사기』에서 유래한 방식입니다. 이는 왕조 교체 후 전 왕조의 역사를 체.. 조선시대 2025. 1. 23.
반응형